카테고리 없음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 내용과 대상

바-리스타 2023. 6. 29. 14:34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 내용과 대상

 

 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은

긴급복지신고의무자 제도에 따른

신고의무자가 받아야 하는 필수교육으로

관련 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.

 

일반적인 기업의 근로자에게는

조금 낯설겠지만 신고의무자는

매년 이 교육을 1회 이상

받아야 하기 때문에 또 하나의

법정의무교육인데요

 

지금부터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을

반드시 받아야 하는 대상과 내용에 대해서

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긴급복지신고의무자제도

 

긴급지원이 필요한 대상자를

쉽게 발견할 수 있는 직종에 종사하는

사람을 신고의무자로 지정함으로써

위기가구 발굴 및 보호가 목적으로

 

신고의무자는 직무 수행 과정에서

긴급지원대상자가 있음을 알게 된 경우

관할 시·군·구청장에게 이를 신고하고,

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.

(법적 근거 : 긴급복지지원법 제7조)

 

 

 

 

 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

 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가 소속된

기관·시설 등에서 실시해야 하는

필수교육으로 매년 1시간 이상

실시해야 합니다.

 

특히, 법 제7조제3항에 명시된

신고의무자는 의무교육 대상이기 때문에

한 명도 빠짐없이 교육 받아야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 대상은

 

- 의료법에 따른 의료기관의 종사자

- 유아교육법, 초·중등교육법, 고등교육법에 따른 교원, 직원, 산학겸임교사, 강사

-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

- 국가공무원법, 지방공무원법에 따른 공무원

-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따른 활동지원기관의 장 및 그 종사자와 같은 법 제26조에 따른 활동지원인력

- 학원의 설립·운영 및 과외교습소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따른 학원의 운영자·강사·직원

- 학원의 설립·운영 및 과외교습소에 관한 법률 제14조에 따른 교습소의 교습자·직원

- 건강가정기본법 제35조에 따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장과 그 종사자

- 청소년기본법 제3조제6호에 따른 청소년시설 및 같은 조 제8호에 따른 청소년단체의 장과 그 종사자

- 청소년보호법 제35조에 따른 청소년 보호·재활센터의 장과 그 종사자

- 평생교육법 제2조에 따른 평생교육기관의 장과 그 종사자

- 지방자치법 제4조의2제4항에 따른 행정리의 이장 및 같은 조 제5항에 따른 행정동의 하부조직으로 두는 통의 통장

- 별정우체국법에 따른 별정우체국의 직원

- 동·리의 새마을지도자 및 부녀회장

-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보건·복지 분야나 민원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외의 직원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 내용

 

① 긴급지원대상자의 신고의무에 관한 법령

② 긴급지원대상자 발견 시 신고방법

③ 긴급지원대상자 보호 절차 등으로

 

위에서 알려드린 것처럼

매년 1시간 이상 받으면 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신고의무자는

의무교육이 되는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

 

고용노동부 지정 위탁기관에서

5대 법정의무교육과 함께

한 번에 해결하세요^^

 

전국 어디서나

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

PC와 모바일로 수강하며

이수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긴급복지신고의무자교육

온라인 수강을 위한 상담과

5대 법정의무교육 상담

 

온라인 위탁교육 신청방법과

교육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

지금 알아보고 신청하세요^^

 

 

 

 

 

고용노동부 지정

위탁교육기관에서

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.